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자료검색

자료검색

검색결과 총 9,562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시와 대화하다

청소년, 시와 대화하다 대출가능

저자 김규중 지음

출판 사계절

발행연도 2010

ISBN 9788958284901

청구기호 811.609 김17청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742

문학소녀와 과학소년과 함께 시의 세계로 들어가다! 행복한 국어 시간을 위한 시 교과서『청소년, 시와 대화하다』. 시를 어려워하는 청소년들과 함께 좋은 시를 읽고, 시의 즐거움과 감동을 나누고자 했다. 두 학생이 시를 읽고 대화를 나누며 선생님의 적절한 도움을 받아 자신의 감상을 완성해가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소녀 은유와 과학소년 명석이 시를 놓고 대화를 하면서 시의 의미와 느낌, 주제 등을 찾아간다. ...

우리동네 어린이도서관 101% 활용법

우리동네 어린이도서관 101% 활용법 대출가능

저자 김명하 글, miclub 기획

출판 봄날

발행연도 2010

ISBN 9788993638035

청구기호 025.26 김34우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739

어린이도서관을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고민하는 부모들을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김명하의 『우리동네 어린이도서관 101% 활용법』. 180만 명의 여성 회원이 활동하는 여성 포털 사이트 '마이클럽'이 기획한 두 번째 부모교육서다. 어린이도서관을 책 읽고 빌리는 곳으로만 인식하는 부모들에게 어린이도서관 활용지침서의 역할을 한다. 어린이도서관을 활용하여 야무진 학습의 현장을 만들어온 부모들과 아이들의 생생한 인터뷰...

어울림을 배우다 : 21세기에 다시 읽는 사자소학

어울림을 배우다:21세기에 다시 읽는 사자소학 대출가능

저자 김태완 지음, 이우일 그림

출판 호미

발행연도 2010

ISBN 9788988526927

청구기호 152.416 김832어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710

「사자소학」에서 어울림의 지혜를 찾는다! 조화로운 인간을 키워내기 위한 교양서 『어울림을 배우다』는 전통문화 연구회에서 성백효 선생이 편찬한 「사자소학」의 원문을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풀이한 후, 그 글에 담긴 의미와 정신을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한다. 조선시대 후기에 아이들용으로 만들어져 근대에까지 읽히던 「사자소학」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

기술의 대융합 : 21세기 창조의 원동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기술의 대융합:21세기 창조의 원동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대출가능

저자 오세정 [외]공저, 이인식 기획

출판 고즈윈

발행연도 2010

ISBN 9788992975339

청구기호 501 기57고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708

21세기 창조의 원동력을 찾다! 과학문화연구소 소장 이인식이 기획한 『기술의 대융합』. 국내 최고 전문가 39명이 참여하여 저술한, 미래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융합기술'에 대한 개론서다. 인류의 미래와 사회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핵심기술 융합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특히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핵심기술 융합현상을 분석한다. 전반부에서는 핵심기술이 서로 만나고 섞여 창출해내는 산업과 연구 등의 분야...

1910년, 그들이 왔다 : 조선 병탄 시나리오의 일본인 누구인가?

1910년, 그들이 왔다:조선 병탄 시나리오의 일본인 누구인가? 대출가능

저자 이상각 지음

출판 효형출판

발행연도 2010

ISBN 9788958720911

청구기호 913.05 이51천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688

오백년 역사의 조선이 어찌 이토 히로부미, 한 사람의 힘으로 무너졌겠는가! 경술국치 백 년을 넘어서는 현재까지도 일본에서는 역사 교과서 왜곡, 독도의 자국 영토 주장, 군사대국화 등을 외치는 우익의 목소리가 높다. 그들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 이 책은 각종 최신 연구 자료와 서적을 통해 조선의 망국과 병탄시기에 활약했던 주요 일본인 21명의 실체를 추적한다. 과거 제국주의 일본의 역사와 그 시대를 이끌었던 다양한 ...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대출가능

저자 고영근 편

출판 박이정

발행연도 2010

ISBN 9788962921083

청구기호 715 고64우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673

우리말 문법에 대한 길잡이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과 답변을 Q&A 형식으로 살펴보는 우리말 사전이다. 단어의 형성 능력, 접두사와 관형사, 형태론과 통사론 등의 기본적인 문법에 대한 총론을 시작으로, 형태소 분석, 품사, 조사, 활용과 어미, 문법 범주, 단어 형성과 어휘 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엄마는 내 맘을 몰라요 : 대한민국 아이들의 135가지 고민 해결 백과

엄마는 내 맘을 몰라요:대한민국 아이들의 135가지 고민 해결 백과 대출가능

저자 눈높이 고민상담센터 지음, 금명자, 이순형 감수

출판 대교출판

발행연도 2010

ISBN 9788939551282

청구기호 378.9 눈215엄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668

우리 아이는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문화체육관광부의 2010년도 '우수 교양 도서' 선정 도서입니다. 아이들의 135가지 고민에 대한 답변을 담은 해결 백과 『엄마는 내 맘을 몰라요』. 눈높이 고민상담센터에 10년 동안 접수된 8만 여건의 고민 중 핵심 질문 135가지를 뽑아 답변해주고 있다. 아이들이 실제로 자신의 고민을 올려놓은 생생한 질문에 전문가의 답변을 단 Q&A 형식으로 전문 상담가들이 고민에 대한 명쾌한 답...

웹시대의 지성 : 21세기의 새로운 지성, 어떻게 말할 것인가?

웹시대의 지성:21세기의 새로운 지성, 어떻게 말할 것인가? 대출가능

저자 이원희 지음

출판 말글빛냄

발행연도 2010

ISBN 9788992114561

청구기호 331.5 이67웹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664

<재즈문화사>로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 교양도서로 선정된 이원희 저자의 신간. 많은 네티즌이 인터넷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정보를 다루거나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아직 스스로를 잘 드러내줄 표현법을 알고 있지 않다. 이 책은 웹 공간에서의 정보 수용자로서 올바르고 정확한 자기 의사 표현과 정보 가치의 성실한 공유 등 성숙한 지성인이 되기 위한 자세와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정...

도쿄대 스토리 : 도쿄대 한국인 학생 17人의 유학 일기

도쿄대 스토리:도쿄대 한국인 학생 17人의 유학 일기 대출가능

저자 도쿄대학교 한국인학생회 엮음

출판 사람과책

발행연도 2010

ISBN 9788981171261

청구기호 377.704 도826도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657

설명없음

산사의 숲, 바람에 물들다

산사의 숲, 바람에 물들다 대출가능

저자 김재일 지음

출판 지성사

발행연도 2010

ISBN 9788978891851세트 9788978892032

청구기호 472.52 김72산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종합자료실

등록번호 EM0000058592

김재일 선생의 '108 사찰 생태기행'은 2000년대 초반(2005~2009년) 현재 우리 땅, 우리 산하 동식물 생태 를 기록한 것이다. 저자는 단순히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변해가는 동식물의 모습만 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과 생존 경쟁을 펼치며 생태상(相)을 바꾸어가는 모습을 기록하고 이야기한다. 이번 <산사의 숲, 바람에 물들다>에서는 전국에 걸쳐 11개 사찰의 가을 풍광을 담고 있다.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사는 생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