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자료검색

신착자료
~

그냥, 그렇다고 : 그냥 사람 사는 이야기

그냥, 그렇다고:그냥 사람 사는 이야기 대출가능

저자 짧은대본 글, 아리 그림

출판 포르체

발행연도 2022

ISBN 9791191393521

청구기호 818 짧68그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신간코너(종합실)

등록번호 EM0000100762

1억 6천만 뷰! 71만 구독자를 열광시킨 「짧은대본」의 첫 번째 책! “우리는 모두 각자의 사랑을 한다” 평범하게 만나고, 사랑하고, 헤어진다 그리고 다시… 그냥, 그렇다고 우리는 누군가를 만나고 마음을 나누고 가끔 상처받고 또 이별한다. 마음을 나누고 살다 보면 누구에게나 생기는 일이다.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감정선대로 아프고 눈물 흘리고 속상해한다. 그리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새로운 사랑을 시작한다. 이 ...

빌런 간호사

빌런 간호사 대출가능

저자 박세인 지음

출판 포널스

발행연도 2024

ISBN 9791166275418

청구기호 512.8 박53빌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신간코너(종합실)

등록번호 EM0000100761

“ 빌런 간호사: 더 이상 순종적인 백의의 천사라 부르지 말 것 “ 정신과 간호사의 이야기를 다룬 『빌런 간호사』가 간호사를 위한 출판사 포널스에서 출간된다. 『빌런 간호사』의 저자는 책에서 자기 자신을 ‘빌런’으로 지칭한다. 이는 정신병동에서 일하며 때로는 피 끓는 열혈 빌런이었다가도 자신의 부족함에 한껏 풀이 죽고, 다시 또 따뜻한 말 한마디에 인류애가 차오르는 시간들, 그 경험을 되도록 생생하게, 오롯이 책...

반백년 잘 자란 박달

반백년 잘 자란 박달 대출가능

저자 박달희 지음

출판 지누

발행연도 2023

ISBN 9791187849506

청구기호 818 박221반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신간코너(종합실)

등록번호 EM0000100760

반백년을 이어온 위대한 역사, 의사수필문학동인 〈박달회〉 1973년 10월, 의사인 동시에 뛰어난 문장가로 명망이 높았던 열다섯 명의 회원이 모여 ‘의사수필문학동인 박달회’를 창립했다. 의사들의 작품은 주로 전문지에 발표되는 것이 전부였던 당시 상황에서, 글쓰기를 통해 보다 깊은 교류를 맺고 그 역사를 이어가고자 했던 초대 회원들이 뜻을 모았던 것이다. 순우리말인 ‘박달회’의 ‘박달’은 ‘박달나무’의 준말인데, 박달...

네, 수영 못합니다 : 물이 무서워 수영을 못하는 남자의 포복절도 수영 입문기

네, 수영 못합니다:물이 무서워 수영을 못하는 남자의 포복절도 수영 입문기 대출가능

저자 다카하시 히데미네 지음, 허하나 옮김

출판 폭스코너

발행연도 2023

ISBN 9791193034057

청구기호 834 다821네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신간코너(종합실)

등록번호 EM0000100759

수영 못하는 사람이 쓴 수영 독본! 물속에선 젬병인 남자와 인어 같은 코치의 대환장 티키타카! 그래서 수영은 할 수 있게 되었나요? 수영을 하게 돼서 인생이 바뀌었나요, 히데미네 씨? 역대 최고 수준의 폭염이 이어질 거라는 이번 여름, 이보다 더 시원할 수 없을 독서 체험을 제공하는 에세이가 출간되었다. 《네, 수영 못합니다》는 물이 무서운 남자의 생생한 수영 입문기이다. ‘수영 못하는 사람이 쓴 수영 독본’이라고도...

소리, 잘 들어야 잘 산다 : 귀박사들의 '귀 건강' 이야기

소리, 잘 들어야 잘 산다:귀박사들의 '귀 건강' 이야기 대출가능

저자 박홍준,이승철,이호기,신중욱,양원선,박한규,임정택 지음

출판 지누

발행연도 2022

ISBN 9791187849407

청구기호 515.4 박95소

소장도서관 영광군립도서관

소장자료실 신간코너(종합실)

등록번호 EM0000100758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을 ‘듣고’ 있다. 아침 알람 소리, 상대의 말소리, 휴대폰 벨소리, 뒤에서 울리는 자동차 경적뿐 아니라 시계 초침 소리까지 수많은 정보가 귀를 통해 우리에게 전달된다. 그뿐인가? 음악을 들을 때도, 바람을 느낄 때도, 조용한 공간에서 쉬고 있을 때도, 그리고 지금 이 순간 조차 우리는 늘 ‘듣고’ 있다. 그러므로 ‘듣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거의 모든 일상에서 불편을 겪게 되고 나아가 신체적으로 큰...